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면접고사는 학생들의 역량을 현장에서 직접 평가하는 제도이다. 서류가 학생의 역량에 맞게 기재돼 있는지를 대학이 직접 확인할 수 있어, 합불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학생들은 대부분 면접을 태어나서 처음 경험해 보기 때문에, 긴장해서 제 역량을 충분히 보여주지 못할 가능성에 전전긍긍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부터 알려주는 면접 기법 5가지를 숙지한다면, 면접고사장에 들어가서 자신의 역량을 여유 있게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4) 찬반 토론형 말하기 기법
면접에는 시사 이슈나 지원 전공 지식 등에 관해 찬성과 반대를 묻는 유형이 있다. 어찌 보면, 면접관과 면접자 사이의 시소게임과 같은 토론 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우선 개념정리부터 하면, ‘토론(討論)’은 ‘토의(討議)1’와는 달리 어떤 문제에 대해 각각 의견을 말하며 논의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주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자기의 주장을 펼쳐 상대방을 설득하는 것이 목적이다. 찬·반 토론형 면접 유형의 과정은 ‘입론(立論)’, ‘예상 반론(反論)’, ‘예상 반론에 관한 재반론’의 논증 형태이므로, 말하기 연습을 부단히 해야 한다. 논증이란, 자신의 주장을 근거를 들어 말하는 것이다. 찬·반 토론은 주장 대신 근거의 정합성을 평가한다. 마찬가지로 반론도 주장이 아닌 근거를 반박해야 한다.
토의(討議) 어떤 문제를 검토하고 협의함. 여러 의견을 견주어보고 가장 좋은 해결책을 찾아가는 협동적인 의사소통
입론(立論) 토론 주제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하는 논거를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에 맞춰 발언하는 것
반론(反論) 찬성과 반대 양측의 입론에서 제시된 논거에 대해 반박하는 발언
정합성(整合性) 논리적 모순이 없는 것
<찬반 토론형 말하기 기법 예시>
(질문) 배아복제 허용에 관한 찬성과 반대 입장 중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시오.
구분 | 찬성 | 반대 |
근거 |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난치병 및 불치병을 치료할 수 있고, 이식용 장기를 대량 생산해 현재 이식용 장기 수급의 극심한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아 복제를 허용해야 합니다. | 치료용 배아 복제를 허용하면 이에 관한 기술이 점점 완벽해지면서 인간 복제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이 될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배아는 인간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기 |
구분 | 찬성 입장에 관한 추가질문 | 반대 입장에 관한 추가질문 |
근거 | 배아 역시 인간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에 배아는 복제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 배아는 완전한 인간이 아니기 때문에 복제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
구분 | 추가질문에 관한 재반박 | 추가질문에 관한 재반박 |
근거 | 배아는 아직 완전한 인간이 아니며, 배아의 줄기세포를 활용해 난치병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 배아는 성인과 동일한 상태는 아니지만 완전한 인간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배아도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합니다. 배아는 초기 인간 생명입니다. 또한 많은 수의 난자 사용은 여성의 건강권과 인권 훼손의 우려가 있습니다. |